프로야구의 인기가 날로 뜨겁습니다. 이제 막 야구를 보기 시작하셨다면 룰에 대해 모르는 부분도 있으시죠.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했던 룰은 야구 승리투수 조건이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승리투수가 되는지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여기]
야구 승리투수 조건
1. 선발투수일 때
선발투수란 경기에 가장 먼저 등판하는 투수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맨 처음으로 던지는 투수가 바로 선발투수입니다. 선발투수는 보통 5선발이라고 해서 5명이서 하루씩 돌아가면서 던지게 됩니다.
선발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려면 최소 5이닝을 던져야 합니다. 그리고 마운드를 내려갈 때 팀이 이기고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그 후 한번도 역전당하지 않고 승리를 하면 그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중간에 역전을 당하면 재역전을 했다 하더라도 승리투수 조건이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승기를 유지하는 것도 승수를 쌓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구원투수일 때
구원투수란 선발투수가 마운드를 내려간 후 등판하는 투수를 말합니다. 선발투수가 5이닝을 채우지 못하여 야구 승리투수 조건을 만족하지 못 했을 때 구원투수로서 승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당연히 팀은 승리를 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구원투수의 피칭으로 인해서 팀이 승리하였을 경우 승리투수가 될 수 있습니다. 주로 지거나 비기고 있을 때 등판하여 팀을 승리로 이끌면 그 투수가 승을 가져가게 됩니다.
3. 심판 재량
구원 투수가 여러 명인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 야구는 보통 선발과 마무리가 아닌, 여러 구원투수가 나오게 되는 양상입니다. 선발 투수가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교체됨과 동시에 구원 투수들의 기여도가 비슷한 경우 심판 재량으로 승리투수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또한 선발 또는 구원 투수가 교체된 후 곧바로 점수가 역전되거나 변동되어 이길 경우, 승리투수를 결정하기가 애매모호 합니다. 이럴 때에도 주심이 경기의 맥락이나 투수 기여도, 경기 흐름 등을 고려하여 승리투수를 결정하게 됩니다.
야구 세이브 조건
야구에서 세이브는 승리하고 있는 상태여야 한다는 전제가 먼저 깔립니다. 이기고 있을 때 등판하여 그 게임을 마무리해야 합니다.
등판할 때에는 팀의 리드가 3점 이내거나 역전 위기 상황에서 최소 3이닝을 던지거나 동점 또는 역전 위기에서 동점이나 승리 상황을 이어가면 세이브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주로 마무리 투수들에 의해 기록되는 통계입니다. 맨 마지막에 나와서 멋지게 경기를 마무리하는 모습과 동시에 세이브를 챙겨가는 것입니다. 이기고 있는 상황을 지키는 아주 중요한 역할이라고 볼 수 있죠.
자주 묻는 질문
Q. 선발투수가 5이닝 이상 던지고 이기고 있을 때 마운드를 내려왔습니다. 그런데 다음 투수가 역전을 허용했다가 결국 다시 이기면 누가 승리투수인가요?
A. 결국 다시 이겼을 때 던지고 있는 투수가 승리투수가 됩니다.
Q. 점수는 내줬지만 역전은 허용하지 않았어도 그런가요?
A. 역전이나 동점을 만들지 않았다면 선발투수가 야구 승리투수 조건을 갖추게 됩니다.
Q. 구원투수는 몇 명까지 나올 수 있나요?
A. 프로야구 경기에서 구원투수의 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따라서 좋은 투수가 많은 팀일수록 탄탄한 안정감을 가지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