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일해 성인 증상, 원인, 전염, 예방접종 꼭 맞아야할까 2025

by 뿜빠 2025. 2. 17.

백일해는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감염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으로, 심한 기침이 특징입니다. 특히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영유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이번 글에서는 백일해의 증상, 원인, 전염 방식, 그리고 예방접종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이를 키우신다면 꼭 읽으셔야 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사람은 백일해를 조심해야 합니다.

 

 

[목차]

 



백일해란?

백일해는 세균성 감염병입니다.

 

백일해(Whooping Cough)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병입니다.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며, 기침을 심하게 유발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백일해라는 이름은 마치 100일 동안 지속되는 듯한 심한 기침에서 유래했습니다.

 

 

백일해 사망사고

백일해 접종을 하지 않아 사망에 이른 사례가 얼마 전 있었죠. 아이를 키우는 입장으로서 정말 가슴이 아팠습니다. 사망까지 이르는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그래도 만에 하나의 가능성도 제거를 하려면 정확히 알고 대비하셔야 합니다.

 

관련 기사를 아래 붙여드리니, 한번 읽어 보시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는 제가 아래에서 계속 설명 드리겠습니다.

 

 

 

 

백일해의 증상

1. 초기(카타르기) 단계

  • 감기와 비슷한 가벼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 코막힘, 재채기, 가벼운 기침, 미열 등의 증상이 지속됩니다.
  • 이 단계에서 전염성이 가장 높습니다.

 

2. 발작성 기침 단계

  • 2~6주 동안 지속되는 심한 발작적 기침이 특징입니다.
  • 기침 후 숨을 들이쉴 때 "휘이잉(whooping)"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 기침으로 인해 구토하거나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 특히 영유아는 호흡곤란으로 인해 산소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어 위험합니다.

 

3. 회복 단계

  • 기침이 점차 줄어들면서 상태가 호전됩니다.
  • 하지만 회복까지 수 주에서 수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백일해의 원인

백일해 원인은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입니다.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이 세균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사람의 기관지에 붙어 독소를 분비하여 기침을 유발합니다. 특히 면역력이 낮은 영유아, 임산부, 면역저하자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백일해의 전염 방식

undefined

 

백일해는 공기 중 비말(침방울) 전파를 통해 쉽게 감염됩니다.

  • 감염자가 기침하거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 중으로 균이 퍼집니다.
  • 같은 공간에 머무는 사람들에게 쉽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 가족 구성원, 유치원, 학교, 병원 등 밀접한 환경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큽니다.
  • 백일해는 초기 감염 2주 동안 전염성이 가장 높으며, 치료를 받으면 전염 기간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백일해 예방을 위한 예방접종

백일해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백신 접종입니다. 아직 안 맞으셨다면 지금 바로 가까운 보건소나 지정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예방접종 맞으시기 바랍니다.

 

 

 

1. 소아 예방접종

  • DTaP 백신: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를 예방하는 백신으로 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 15~18개월, 만 4~6세 총 5회 접종해야 합니다.

 

2. 청소년 및 성인 예방접종

  • Tdap 백신: 면역력이 감소하는 청소년(만 11~12세)과 성인은 추가 접종이 필요합니다.
  • 임신부는 임신 27~36주 사이에 Tdap 백신을 맞으면 출생 후 신생아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

 

백일해 치료 방법

백일해는 세균 감염 질환이므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 등의 항생제가 사용됩니다.
  •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증상을 완화하고 전염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백일해는 심한 기침을 동반하는 전염성이 높은 질병으로, 특히 영유아와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예방접종을 통한 면역 강화가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정기적으로 DTaP 및 Tdap 백신을 접종하고, 감염이 의심될 경우 신속히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간수치 높은이유와 낮추는법 2024 (건강검진 신체검사 전에 꼭 보세요)

✅치매 자가진단 테스트 30문항 체크리스트(건망증 심하신 분 필수)

✅국민건강보험 EDI 서비스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 4대보험 취득신고

 

반응형

댓글